

혐기성 소화
기술 소개 | 적용 분야 | 특징 | 주요사례 | 관련 자료 | 1:1 문의
유기성 폐기물, 미래의 에너지가 됩니다!
- 혐기성 소화를 통한 재생에너지(바이오가스) 생산
- 다양한 형태의 바이오가스 활용
- 유기성 폐자원으로부터 고부가가치 물질 생산
- 바이오가스 활용을 통한 탄소중립 감축 기여
-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가수분해, 산 발효, 메탄 발효 단계를 거쳐 유기물을 메탄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는 기술
C6H12O6 → 3CH4 + 3CO2- 산소 공급이 없기 때문에 에너지 투입량이 적고, 성장 속도가 느린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슬러지 발생량이 적음
- 유기성 폐자원 감량화 및 재생에너지 생산 시설에 주로 적용
Advanced Anaerobic Digestion
개발부터 검증까지 순수 국산 기술, AAD
- 최대 17% 이상의 고농도 고형물 처리를 통한 소화조 용적 최소화
- 혐기성 회분식 운영을 통한 바이오가스 증산
- 다양한 적용처
: 음식물류 폐기물(음폐수 포함), 가축분뇨, 하수슬러지, 동·식물 잔재물 등


특징
최고의 소화 효율을 실현하는 운전 구성
- 고효율 교반기 : 고농도 TS 처리, 소화조내 사공간 및 스컴층 발생 억제 → 완전 교반 구현
- 하부 퇴적물 배출 : 하부 퇴적물 침적 및 고착화 방지 효과 구현
- 고농도 미생물로 안정성 극대화 : 성상 변화, 저해 현상 등에 대한 대응 구현
- 소화 효율 향상 : 고형물 체류시간 확보로 가스 생산량 증대 및 안정적인 VS 제거율 구현

Anaerobic SBR로
안정성, 효율성 극대화
- 고농도 혐기성 미생물 배양을 통한 성상 변화 및 저해물질 대응
- 간헐적 교반을 통한 유지관리비 절감
- HRT에 비해 긴 SRT 유지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 향상
* HRT (Hydraulic Retention Time) : 수리학적 체류시간
* SRT (Solid Retention Time) : 고형물 체류시간
*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.
Anaerobic SBR 운전 과정
밀양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운영 결과
BKT 통합 바이오가스화 실증연구시설 운영 결과
간편한 분석 진단을 통해
비상 시 선제적 대응 가능
- 기존 진단 기술 적용 및 소화조의 밀폐 구조로 인한 상태 진단의 어려움 해결
- 계측 설비(pH, 온도, 가스 유량계 등) 대비 이상 상태 조기 발견 가능

주요 실적

밀양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
- 시설용량 : 총 100톤/일 (가축분뇨 80톤/일, 음식물 20톤/일)
- 적용기술 : AAD(혐기소화)
- 적용 효과 :
· 유기물 제거 70% 이상 및 설계 대비 150%의 바이오가스 생산
· 소화조 내 퇴적물 배출 등을 통해 안정적 운영
· 운영에 소모되는 연간 전기 사용량의 6%에 해당하는 1억 5천만원 예산 절감
Tofu process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 (MBBR > Coagulation / Flocculation > DAF > Dewatering)
Solar panel manufactur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
Noodle process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(MBBR > Coagulation / Flocculation > DAF > Dewatering)
Semiconductor matrerials manufactur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(Coagulation / Flocculation / Lamella Clarifier > Thickener > Dewatering)
Replacement of wastewater treatment roots blowers with TW's turbo blowers for production expansion
Dairy manure digestate wastewater polishing for discharge(TW's Proteus biological filtration for N removal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