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성, 환경성을 고려한 지역 특성에 맞는 공정 선정이 핵심

가축분뇨 정화처리

Why?

오염 부하량이 가장 높은 악성폐기물
가축 분뇨, 제대로 알고 계시나요?

- 가축 분뇨 발생량은 오폐수 발생량의 1%에 불과하나, 수질오염에 미치는 영향(오염부하량)은 37%(생활하수의 90배, BOD 기준 37%, TP 기준 54%에 달함)
- ‘현재 전국 하수도 보급률 90.1%, 하수관거 보급률 78% 차지하나, 가축 분뇨 공공처리율은 10%에 불과한 상황입니다. (2018년, 환경부 통계)

가축분뇨,
처리의 한계와 방안

- 최근 경작지 감소살포지 부족으로 인해 퇴액비 수요가 줄어들면서, 가축분뇨가 다량 적치되거나 불법 투기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 이로 인해 2차 수질오염 등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

- 더불어, 정부는 2023년 12월부터 가축분뇨를 바이오가스 생산 의무 대상으로 지정하고, 이를 통해 가축분뇨의 효율적 처리바이오가스 생산 촉진을 목표로 새로운 법을 시행하였습니다. [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. 2023. 12 시행]

2019 2020 2021 2022
가축분뇨 발생량 153,220 139,753 142,027 139,353
가축분뇨 처리 현황 정화처리 9,264 8,060 7,331 11,791
위탁처리 30,902 26,234 27,788 28,609
자원화 113,055 105,459 106,907 98,952

출처 : 환경부 [가축분뇨 처리 통계]

(단위 : 호, 천두, 톤/일)

고객의 고민

우리 지역 상황에 맞는 가축분뇨 처리 공정은?

- 경제성, 유기성폐자원 발생 등 지역 특성을 우선 검토하여 각 지역 상황에 맞는 처리 공정을 결정해야 합니다.

도시 농촌 복합형,
수자원 보호 지역

바이오 가스
  • 음식물 등 유기성 폐기물 다량 발생지역
  • 소화액 하수처리 연계 지역
  • 소화가스 활용(발전, 연료) 가능 지역
  • 고형연료
  • 고형연료 수요 충분지역(화력/열병합발전소, 자체 연료)
  • 양분 총량 초과지역
  • 회수열 활용(온수) 가능지역
  • [사례]

    홍천군 친환경 에너지 타운
    에너지화+정화처리+퇴비자원화

    • - 처리 대상 : 양돈분뇨+음식물
    • - 지역특성 : 수질보전 지역, 산간 소외지역
    • - 시설용량 : 100㎥/일
    • - 방류 계획 : 연계 방류(하수처리장)

    [에너지화] 가축 분뇨/음식물 → 전처리 → 혐기소화조 → 바이오가스 → 주민 공급(도시가스)

    [정화처리] 혐기소화액 → 전처리 → 생물반응조 → 부상분리 → 연계 방류

    [자원화] 슬러지 → 퇴비 발효시설 → 포장 → 퇴비 → 농가 보급

    도시 농촌 복합형
    수자원 보호 지역

    정화처리
  • 수질보전 지역
  • 양분 과다 발생지역
  • 도시화 진행지역
  • [사례]

    서귀포시 가축 분뇨 공공처리시설
    단독 정화처리

    • - 처리 대상 : 양돈분뇨
    • - 지역특성 : 관광 지역, 수계 보호 지역
    • - 시설용량 : 200㎥/일
    • - 방류 계획 : 연계방류(하수처리장)

    [정화 처리] 가축분뇨 → 전처리 → 생물반응조(BCS) → 고도산화(AOF) → 생물여과(BBF) → 수계 방류 또는 하수처리장 연계

    솔루션

    지역별 특성에 맞는
    가축분뇨 처리 토탈 솔루션

    가축분뇨 정화처리

    - 전국 60개소 이상의 현장에서 적용 및 검증된 가축분뇨 정화 처리 기술을 바탕으로, 각 현장 특성에 최적화된 맞춤형 솔루션 제공


    통합바이오 가스화

    - 각 지역의 환경적 특성에 맞춤형 가축분뇨 처리 공정 솔루션을 제시하여, 2차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 예방

    - 가축분뇨를 포함한 유기성 폐자원(음식물 폐기물 등)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통합 바이오가스  공정 계획을 통해 바이오가스 의무 생산량 달성 가능

    - 바이오가스화는 에너지를 생산하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핵심 솔루션, 정화처리에서 더 나아가 에너지 자립 실현


    관련 기술

    성공 요인

    너무 다양한 처리 기준,
    지역 맞춤형 복합 처리 기술로 해결합니다!


    01
    고객 맞춤형 가축분뇨 처리 복합 공정 솔루션 제공 80% 이상

    - 정화처리, 통합바이오가스화 등 가축분뇨 처리의 종합 기술 솔루션 제공

    02
    국내 가축분뇨 정화처리 기술 1위

    - 2000년 이후 점유율 80% 이상, 국내 최초 실증시설 및 환경부 인증 환경신기술 적용

    03
    국내 가장 콤팩트한 가축분뇨 정화처리 공정

    - 동일 처리 용량, 타사 대비 부지 소요를 30% 이상 절감하여 공간 활용도 극대화

    주요 사례

    김해시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(증설/노후시설 개량)

     - 시설용량 : 정화처리 330㎥/일(기존 130㎥/일), 바이오가스 200㎥/일 

    - 성능개선 : 보증 수질 강화(고도처리공정 추가/개선), 적은부지 공법개량(주처리시설)

    - 공정개량 : 기존 정화처리 노후시설 → 에너지+정화처리로 개량


    보령시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(증설/노후시설 개량)

    - 시설 용량 : 정화처리 230㎥/일(기존 80㎥/일), 퇴비화 10톤/일

    - 공정 개량 : 정화처리 + 자원화(퇴비화)

    - 기존시설을 최대한 활용하여 증설 및 개선사업 동시진행


    밀양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(증설/노후시설 개량)

    - 시설용량 : 정화처리 총 100톤/일 (가축분뇨 80톤, 음식물 20톤)

    - 노후시설개량 : 에너지화 + 정화처리

    - 노후시설 개량 및 통합바이오가스 시설 증설

    관련 자료

      • [BCS] 준공 취소에서 위탁 운영까지- 등곡 지구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개선사업 [바로보기]

      • 도축시설의 폐수.폐기물 어떻게 처리하고 계십니까? [바로보기]

      • 어느 농촌 마을의 변신. 에너지 자립화의 시작, 통합소화 솔루션 [바로보기]